본문 바로가기
정보,이슈 꿀정보

식품 유통기한 표기와 읽는 방법

by ◈♡♥▣ 2021. 12. 14.

제조식품, 가공식품, 소분 식품, 수입식품의 경우 유통기한을 표시하여야 합니다. 유통기한 표시를 생략할 수 있는 식품은 품질유지기한을 표시하는 식품, 자연 상태의 농·임·수산물, 아이스크림, 식용 아이스, 껌(소형 포장제품에 한함) 등이 있습니다. 또한 식품첨가물, 가전제품, 용기 포장은 유통기한 표시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한국에서는 유통기한이 연월일 순으로 표시되지만, 보통 "○○년 ○○월 ○○일까지"로 표시됩니다. 제조일자 표시의 경우 유통기한에 "년월"을 기재하지 않고 "○○일까지" 또는 "○○년까지"로 표기할 수 있습니다. 단, 도시락의 경우 반드시 시간까지 표시해야 합니다. 통조림 식품은 10월, 11월, 12월 영문 첫 글자 뒤에 각각 O, N, D로 표기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유럽의 경우 일, 월, 년으로 표시됩니다.

식품인증마크란

소비자들이 식품을 살 때 살펴봐야 할 표시법 가운데는 식품인증마크도 있습니다. 인증마크는 발부 기관에 따라 다양하며, 각각의 특징이 분명하므로 개념을 잘 알고 있으면 식품을 선택하고 고르는 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NASA(미 항공우주국)에서 시작된 HACCP

식품 포장 용기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것이 HACCP 인증 마크입니다. HACCP 인증 마크가 이전보다 보편화됐다는 것은 그만큼 안전하게 관리되는 식품이 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HACCP의 원리가 식품에 적용되기 시작한 것은 NASA와 관련이 있습니다. HACCP 시스템은 우주선을 개발할 때 100% 미생물학적으로 안전한 우주식량을 만들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HACCP는 식품 생산부터 소비까지 모든 과정에서 유해물질이 식품과 섞이거나 식품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 공정에서 위험요소를 파악, 평가하는 데 중점을 둔 사전 예방적 식품안전관리시스템입니다. 식품포장용기에 HACCP 인증마크가 있다는 것은 해당 제품이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되는 제품이기 때문에 안심하고 구매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