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이슈 꿀정보

연령에 따른 비만 측정방법

by ◈♡♥▣ 2021. 12. 21.

비만인 아이들은 성인이 되어서도 비만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비만의 경계에 속하는 성장기 아동의 경우 성장 중이라 살이 찌고 있는지 비만인지 모르는 부모도 있습니다. 이 경우 아이들의 신체 측정을 통해 비만을 측정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비만 측정 지수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BMI라는 체질량지수 측정 방법입니다. 체질량지수(BMI)는 몸무게를 키의 제곱(무게 kg/높이㎡)으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대한비만학회의 결과로 얻은 수치 평가 기준에 따르면 18.5에서 22.9 사이는 정상으로 판단됩니다. 18.5 미만은 저체중으로, 23-24는 과체중으로, 25개 이상은 비만으로 판단됩니다. 일일이 계산하는 것이 번거롭다면 인터넷 검색창에 검색해서 입력하기만 하면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연령에 따라 비만 측정법도 다르다

BMI의 경우 체지방 함량을 잘 반영하기 때문에 보편적이긴 하지만, 좀 더 구체적으로는 연령에 따라 비만 측정 방법이 조금씩 다릅니다. 카우프 지수는 생후 3개월에서 5세(최대 2세까지)까지 영유아 초기 영양 상태 평가로 사용됩니다. Kauf 지수의 경우 몸무게 (g)/[신장 (cm)]2×10으로 계산됩니다. 1세 미만의 경우, 15세 미만은 영양불량, 15-18는 정상, 18-20는 비만 경향, 20 이상은 비만 판정을 받습니다. 1~2세의 경우 14세 미만은 영양불량, 14~17는 정상, 17~18.5는 비만 경향, 18.5세 이상은 비만 판정을 받습니다. 취학 연령 아동의 경우 뢰러지수가 사용됩니다. 뢰러 지수는 체중(kg)/[신장(cm)]3×107로 계산됩니다. 학령기 아동에게 뢰러지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키에 따라 비만 기준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키가 110~129(㎝)인 경우 180 이상이면 비만, 키가 130~149(㎝)인 경우 170 이상이면 비만, 키가 150(㎝) 이상이고 160 이상이면 비만이라고 판정합니다. 참고로 성인은 BMI와 함께 브로카 지수를 사용합니다. 브로카 지수는 표준 몸무게와 실제 몸무게를 비교하여 비만을 판단합니다.

브로카 지수의 표준체중 계산법은 신장이 161(cm) 이상일 경우 ‘신장-100 × 0.9’로 계산하고, 신장이 150~160(cm)일 경우 ‘신장-150 × 0.5 + 50’으로 계산하며, 신장이 150(cm) 미만인 경우 ‘신장-100’으로 계산하게 됩니다. 그렇게 표준체중을 구하고 나면 (실제 체중-표준체중) ÷ 표준체중 × 100으로 해서 비만도를 계산할 수 있게 됩니다. 비만도에 따른 결과는 -20 미만은 매우 마름, -20 이상 -10 미만은 마름·체중 부족 상태, -10 이상 10 미만은 정상, 10 이상 20 미만은 과체중, 20 이상은 비만, 30 이상은 중증도 비만, 50 이상은 고도 비만으로 판정되게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