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이슈 꿀정보

학교에서 나트륨,당,트랜스지방 줄이기

by ◈♡♥▣ 2021. 12. 23.

만약 어린아이들이 어릴 때부터 짜고 단 맛에 노출된다면, 그들은 성인이 되었을 때 지금보다 더 많은 설탕과 소금을 섭취해야 할 것입니다. 그래야 음식 맛을 느낄 수 있을 테니깐 말입니다. 과도한 나트륨 섭취는 비만과 고혈압과 같은 질병을 유발합니다. 과도한 설탕 섭취는 비만과 당뇨와 같은 질병도 유발합니다. 트랜스지방의 경우 어린이가 많이 섭취하면 비만이나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를 일으킬 수 있고, 성인의 경우 동맥경화나 그에 따른 심혈관질환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어릴 때부터 나트륨과 설탕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학교에서 나트륨,당,트랜스지방 줄이기

학교에서는 어린이들의 건강한 식단을 형성하기 위해 나트륨, 설탕, 트랜스 지방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나트륨을 줄이기 위해, 나트륨을 측정하는 도구인 염도 측정기가 모든 학교에서 사용됩니다. 국물이나 찌개에 들어 있는 나트륨의 양을 확인하고 적절한 수준으로 제공합니다. 찌개 요리를 제한하고 구이 요리로 전환하는 메뉴도 제공됩니다. 고기나 생선을 구울 때는 양념 없이 구워서 먹기 직전에 소스와 함께 제공하기도 합니다. 메뉴에는 나트륨이 많이 들어간 찌개보다 맑은 국을 더 자주 메뉴에 사용됩니다. 처음부터 나트륨 섭취를 급격히 줄이면 맛이 사라지기 때문에 차근차근 줄여 나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3월에 국의 염도를 0.6으로 제공하였다면, 한 달 후나 두 달 후쯤에는 0.5로 염도를 낮춰서 제공하면 크게 무리가 없게 됩니다. 그리고, 국이나 찌개가 뜨거울 때는 간을 잘 모르기 때문에 국이나 찌개류를 제공할 때도 적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 나트륨을 낮춰서 먹기 수월하게 됩니다. 가급적 식품 자체의 맛을 이용하고, 소금 대신 간장, 고추장, 된장을 사용하거나, 카레와 같은 향신료, 식초, 참기름 등을 요리에 활용하면 나트륨의 섭취를 줄이기 쉽게 됩니다. 나트륨 함유가 많은 칼국수나 우동의 경우, 생야채를 많이 첨가해서 조리하면 나트륨 섭취를 줄일 수 있게 됩니다.

학교에서 설탕 섭취를 줄이기 위해서는 물엿이나 설탕이 많이 들어간 조림보다 구운 음식이나 볶은 음식을 식단에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요즘, 어떤 학교들은 음식에 얼마나 많은 설탕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설탕 측정기를 갖추고 있습니다. 우리 학교에서는 설탕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과일을 갈아서 모든 음식에 사용합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음식의 맛도 증가하고, 1년에 비해 설탕 주문량이 크게 줄었습니다. 부득이한 경우에는 물엿 대신 조청이나 꿀, 매실청을 사용하였습니다. 트랜스지방을 낮추기 위해 식단에 쇼트닝을 이용한 메뉴는 최대한 제공하지 않았습니다. 예를 들어 쇼트닝이 많이 들어간 쿠키나 빵은 항상 영양성분 표시나 식재료를 확인한 후 아이들에게 제공됩니다.

댓글